1. 카카오모먼트 타게팅
원하는 대상에게 광고를 노출하고 싶다면 타게팅 세팅이 필!수!
타게팅 옵션을 선택하지 않고도 광고 집행 가능 -> 논타게팅, 불특정 다수에게 광고가 노출
- 타게팅 옵션을 선택하기 전, 우측의 예상 모수를 주의 깊게 볼 것!
예상 모수는 추정값으로 광고에 노출될 수 있는 최대 타겟 수이자, 내 광고가 얼마의 사람들에게 노출 되는지 감을 잡을 수 있으며 추정값이기 때문에 실제 인구와는 오차가 있음
설정한 세팅에 따라서 모수가 달라지는데, 모수가 너무 많으면 타게팅 효과가 떨어지고, 모수가 너무 적으면 노출수가 너무 작아짐. 세팅하면서 생각했던 의도에 맞는 적절한 수준인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 - 광고를 누구에게 노출?
- 맞춤타겟 - 추가 설정 - 카테고리 타게팅
관심사/업종으로 구분되며 사용자의 관심 분야와 이용한 서비스의 업종을 통해서 이 카테고리에 관심이 있을것이다 추정해서 모수를 제공하는 타게팅 - 데모그래픽
성별, 나이(5세 단위로 세팅), 지역(사용자가 가장 많이 방문한 지역을 타게팅 가능, 동읍면 단위까지 설정 가능)
- 맞춤타겟 - 추가 설정 - 카테고리 타게팅
- 광고를 어디에 노출?
- 디바이스
모바일 or PC
디바이스 환경 설정에서 Wifi에서만 노출 옵션도 있음 - 게재지면
업데이트를 통해서 지면이 계속 확대되고 있고, 카카오비즈니스 가이드 확인!
가능한 모든 지면 노출 or 상세 설정
카카오 서비스 및 카카오와 제휴를 맺고 있는 외부 네트워크 지면 중 선택 가능
카카오톡 채팅 탭만 노출하고 싶다면 카카오톡 하위에 옵션 있음 (비즈보드)
- 디바이스
- 집행 전략 설정
입찰방식, 일 예산, 집행기간, 게재방식- 입찰방식
수동입찰 or 자동입찰
수동입찰은 시스템에 운영을 맡기는 구조로 광고그룹 일 예산 내에서 최대한 많은 목표를 일으켜서 효율을 높이도록 입찰금액이 자동으로 설정, 이 경우 게재방식도 자동으로 결정
수동입찰은 직접 입찰방식과 금액을 정하는 것으로 게재 방식 (일반 게재 or 빠른 게재 중 선택) 빠른 게재는 일 예산을 최대한 빠르게 소진하도록 광고를 노출하고 일반 게재는 일 예산을 바탕으로 시간대별로 고르게 노출하도록 함 - 일예산
광고그룹 기준으로 하루에 쓸 수 있는 광고 비용 일예산을 설정가능 - 집행기간
광고 일자, 요일을 설정할 수 있음
- 입찰방식
내 광고를 노출하고 싶은 고객을 설정했다면 그에 맞게 옵션을 설정해서 타게팅을 세팅
20대 여성 의류 쇼핑몰?
타겟층을 고려해서 카테고리 관심사는 패션, 업종은 뷰티, 성별은 여성, 나이는 20-24, 25-29 설정
선택한 타겟팅 옵션의 예상 모수와 설정 값을 우측에서 확인하면서 편리하게 세팅하자!
다했다면 광고 그룹 정하고 저장!
2. 내 데이터 타게팅 알아보기
내 데이터 타게팅은 카카오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뿐만 아니라 내가 보유하고 있는, 광고 집행 과정에서 얻는 데이터를 통해서 고도화된 타겟팅을 할 수 있음
카카오모먼트에서 제공하는 내 데이터 설정 옵션은 '광고 반응 타겟, 픽셀&SDK, 고객파일, 친구그룹, 카카오 사용자' 총 5가지 !
1) 광고 반응 타겟
집행한 광고에서 발생한 클릭 재생 전환 열람 등 광고 반응 데이터를 활용
내 광고에 반응한 고객들은 내 상품에 관심이 있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을 대상으로 하면 광고가 더 효과적일 것!
타겟 관리 - 광고반응타겟 관리 - 광고반응타겟 만들기 클릭 - 광고반응타겟을 만드는데 활용할 광고그룹을 선택 - 데이터를 설정 - 이름을 작성 - 생성 완료
광고반응타겟의 수집 기간은 최근 90일이 기본값이고 생성 직후에는 타겟 모수가 준비중인 상태로 보여짐
타겟 모수는 생성 다음날부터 반영됨
2) 픽셀&SDK
픽셀&SDK가 광고계정에 연동되어 있다면 수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방문, 회원가입, 구매 등 각 이벤트 별로 사용자를 타겟팅할 수 있음
3) 고객파일
광고 집행이나 서비스 운영을 통해서 보유하고 있는 ADID가 있다면 직접 업로드해서 활용가능
ADID - Advertising Id의 줄임말로 모바일 운영체재에서 맞춤형 정보나 광고를 제공하기 위해 발급하는 고유의 식별자
즉 우리의 스마트폰에 영어와 숫자 조합의 고유 ID인 ADID가 하나씩 존재함
타겟 관리 - 고객파일 관리 - 템플릿 가이드에 맞게 CSV 파일 만들기 - 고객 파일 등록하기 - 파일 업로드
등록 직후에는 타겟 모수가 준비중인 상태로 보이며, 최대 6시간 이내에 모수 추출이 완료
4) 친구 그룹 (!!!!!!!!관리자 센터 확인해보니 지금은 없음!!!!!!!!!)
카카오톡 채널 X 도달 캠페인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방식
광고 집행이나 서비스 운영 등을 통해서 전화번호, 앱유저아이디와 같은 고객 식별자를 업로드하거나 집행할 메세지 발송 대상자를 친구그룹으로 활용할 수 있음
앱유저아이디는 카카오싱크 운영을 통해서 수집할 수 있는 식별자 정보
메시지 발송 대상자는 최근 30일 이내에 등록한 메시지 발송 광고 그룹을 선택할 수 있는 옵션
타겟 관리 - 친구 그룹 관리 - 친구 그룹 등록하기 - 친구그룹을 생성할 카카오톡 채널을 선택 - 친구 유형에서 전화번호, 앱유저아이디, 메시지 발송 대상자 중 하나를 선택 - 가이드에 맞게 파일 업로드
생성 직후 친구 수는 준비 중 상태로 보여지며 등록한 식별자 중 해당 카카오톡 채널과 친구 관계인 사용자가 확인되는 대로 업데이트
5) 카카오 사용자
카카오 사용자는 카카오톡 채널 친구와 카카오 로그인 이용자를 의미
카카오 사용자 타게팅은 광고 그룹내에 내 데이터 설정에서 확인 가능 - 카카오사용자를 클릭한 다음 내 카카오계정에 연동된 카카오톡 채널 친구 or 카카오 로그인 이용자를 선택해서 타게팅에 이용
카카오톡 채널 친구 - 채널 친구가 여러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되면 모든 디바이스가 모수에 포함
카카오 로그인 이용자 - 카카오 로그인 및 카카오싱크 가입자가 모수에 포함
출처 : 카카오 비즈니스 세미나 (https://bizseminar.kakao.com/curriculum/8)
번외 ) 웹이나 앱에 광고 매체 픽셀&SDK 설치하는 것과 GA4 연동하는 것의 차이가 뭘까?! 🫥🫥
아래는 chatGPT의 답변.
1. 광고 매체의 픽셀 & SDK
📌 목적:
- 광고 플랫폼(Facebook Ads, Google Ads, TikTok Ads 등)의 최적화 및 성과 분석을 위해 설치됨.
- **광고의 전환 추적 및 최적화(ROAS 향상)**가 핵심 목적.
🛠️ 작동 방식:
- 광고 매체에서 제공하는 **픽셀(웹) 또는 SDK(앱)**를 설치하면, 해당 광고에서 유입된 트래픽의 **전환 이벤트(구매, 회원가입, 장바구니 추가 등)**를 추적함.
- 광고 플랫폼이 이 데이터를 활용해서 **머신러닝 최적화(타겟팅, 리타겟팅, Lookalike Audience 등)**를 수행.
🖥️ 어디에서 확인 가능?
- 해당 광고 매체의 **관리 페이지(예: Facebook Ads Manager, Google Ads, TikTok Ads 등)**에서 데이터를 볼 수 있음.
- 플랫폼 내에서 직접적인 광고 최적화, 캠페인 성과 분석 가능.
✅ 장점:
✔ 광고 매체의 알고리즘이 전환 데이터를 활용해 자동 최적화(스마트 타겟팅, 리타겟팅)
✔ 특정 광고에서 유입된 고객이 실제 전환했는지(ROAS 분석) 확인 가능
✔ 광고 채널별 성과를 개별적으로 분석 가능
❌ 한계점:
❌ 해당 광고 매체에서 발생한 전환만 추적하므로, 전체적인 웹/앱 사용자 흐름을 파악하기 어려움
❌ 광고 플랫폼에 종속적이라서, 다른 광고 채널과의 비교 분석이 어려움
❌ 쿠키 제한(특히 iOS 14+ 이후)으로 인해 데이터 손실 가능
2. GA4 연동 (Google Analytics 4)
📌 목적:
- 광고 유입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사용자 행동 분석 및 트래픽 흐름 분석이 핵심 목적.
- 광고 성과 비교 + 사용자 행동 패턴 분석까지 가능.
🛠️ 작동 방식:
- 웹사이트나 앱에 GA4 태그(GTM 포함)를 설치하면, 유입된 모든 사용자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체적인 유저 행동 경로(페이지뷰, 세션, 이벤트, 구매, 이탈 등)**를 추적.
- Google Ads, Facebook Ads 등 다양한 광고 플랫폼과 연동하여 채널별 기여도를 분석할 수 있음.
🖥️ 어디에서 확인 가능?
- **GA4 관리자 페이지 (Google Analytics 4 대시보드)**에서 확인 가능.
- 다양한 트래픽 소스(Organic, Paid, Social 등)를 통합해서 분석 가능.
✅ 장점:
✔ 특정 광고 매체에 종속되지 않고, 전체적인 트래픽 및 사용자 행동 흐름을 분석 가능
✔ Facebook, Google, TikTok 등 여러 채널의 광고 성과를 한곳에서 비교 분석 가능
✔ 다양한 트래픽 소스(SEO, Organic, Direct, Social, Paid Ads 등)를 한 번에 확인할 수 있음
✔ 고객의 전체 여정(First Touch - Last Touch) 및 기여도 분석 가능
❌ 한계점:
❌ 광고 매체의 머신러닝 최적화(스마트 타겟팅, 리타겟팅)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음
❌ 전환 이벤트를 직접 광고 플랫폼에 전달하지 않으면 광고 최적화에 활용하기 어려움
❌ GA4 설정이 복잡하고, 데이터 샘플링이 적용될 수 있음
📊 차이점 요약
비교 항목 광고 매체 픽셀(SDK) GA4 연동
목적 | 광고 성과 분석 및 최적화 | 전체적인 트래픽 및 사용자 분석 |
사용 데이터 | 특정 광고 플랫폼에서 유입된 전환 데이터 | 전체적인 유저 행동 흐름 |
광고 최적화 기여 | 광고 플랫폼의 머신러닝 최적화에 직접 반영 | 직접적인 최적화 불가능 (전환 연동 시 활용 가능) |
전환 데이터 제공 | 광고 플랫폼에서만 확인 가능 | 다양한 트래픽 소스를 비교 가능 |
다른 채널과 비교 | 불가능 (해당 광고 채널 내에서만 분석) | 가능 (다양한 소스를 한 번에 분석) |
💡 결론
- 광고 매체의 픽셀 & SDK는 해당 광고 플랫폼의 전환 최적화 및 성과 분석에 초점이 맞춰져 있음. 광고의 효율을 높이고 ROAS 최적화를 위해 필수적.
- GA4 연동은 특정 광고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유저 행동 분석과 트래픽 흐름을 확인하는 용도로 활용됨. 광고 채널별 성과 비교가 가능하지만, 직접적인 광고 최적화에는 영향을 주지 않음.
👉 그래서 GA4와 광고 픽셀을 함께 활용하면 광고 최적화 + 전체적인 트래픽 분석이 가능해서 더 정교한 마케팅 전략을 세울 수 있어! 🚀
아이고 똑똑이 ...
맞다! GA4는 매출 관련 데이터를 볼 수 없어서 ROAS를 알 수 없음! 그래서 매체 데이터와 GA4를 꼭 같이 봐야함!!
'🖥️ 부지런히 매체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Naver Business School] 콘텐츠검색광고 잘 집행하기_'키워드' (0) | 2025.02.14 |
---|---|
[Naver business school] 쇼핑 검색 랭킹 최적화하기 (1) | 2025.02.12 |
[kakao business seminar] 카카오 비즈보드 CPT 알아보기 (0) | 2025.02.06 |
[kakao business seminar] 럼튼의 저비용 고효율 마케팅 성공전략 (2) | 2025.02.05 |
[Looker Studio] GA4 Data 대시보드 (1) | 2024.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