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 自性反省

ga44

[GA4, GTM] 티스토리 스크롤뎁스 이벤트 측정하기 ! 📍스크롤 뎁스란 ? 사용자가 페이지를 몇 %까지 스크롤했는지를 GA4로 전송하는 이벤트.GTM에서 설정하면 GA4에서 사용자가 콘텐츠를 얼마나 소비하는지 분석할 수 있음.   1️⃣ 트리거 설정하기 1) GTM 접속해서 트리거 설정 페이지 들어가기2) 새로 만들기 클릭3) 트리거 유형으로 '스크롤 깊이' 클릭 4) '세로 스크롤', '25,50,75,100'% 페이지 퍼센트 지정하기 5) '모든 페이지'에서 실행하기 클릭    2️⃣ 태그 설정하기 1) 태그 설정 페이지 들어가기 2) 새로 만들기 클릭3) 태그 유형으로 GA4 클릭하고 GA4 측정ID 기입 4) 이벤트 이름 'scroll_depth'로 설정하기 5) 이벤트 매개변수 'scroll_percentage' 추가하기6) 아까 만든 트리거 추가.. 2025. 3. 9.
[GTM] 티스토리 연동 전, 구글태그매니저는 뭘까 ? GTM이란 ?GTM(Google Tag Manager)은 웹사이트 혹은 앱에서 코드 및 태그라고 통칭되는 관련 코드들을 쉽고 빠르게 업데이트할 수 있는 태그 관리 시스템GA 태그, 광고 픽셀(페이스북, 카카오) 등의 태그를 넓은 범위로 관리하며 사용자의 행동을 추적함GA4를 활용해 웹사이트에 방문한 사용자의 이벤트 데이터를 수집하려면 GTM 활용이 권장되며, 스크립트 관리가 용이하고 데이터 수집 및 관리를 위한 리소스를 최적화할 수 있음  GTM을 왜 활용해야할까 ? 1. 스크립트 관리 용이 GA4 마지막 단계로 추적 코드를 웹사이트에 삽입하는 것뿐만 아니라 다양한 광고 픽셀 및 코드를 삽입 할 수 있는데, 여러 코드를 삽입하게 되는 스크립트 충돌 문제를 GTM이 방지할 수 있음  2. 데이터 수집 및 .. 2025. 2. 27.
[GA4] 맞춤 측정기준과 맞춤 측정항목의 정의와 사용 방법 측정기준과 측정항목은 GA4가 데이터 차트를 구성하는 기준 축이다. 측정기준으로 어떤 데이터를 볼지 기준을 먼저 정하고 측정항목으로 해당 기준에 맞는 어떤 정량적인 값을 볼지 정하면 차트가 구성된다. GA4가 제공하는 기본 보고서에는 사전 정의된 축으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고, 탐색 분석 보고서에서는 직접 측정기준과 측정항목을 매칭해서 보고서를 만들 수 있다. 측정기준 (Dimension)어떤 기준으로 데이터를 볼까 ? (데이터의 속성, 분류 기준)ex) 데이터 소스 / 매체 , 데이터 발생 국가나 도시, 데이터 유입 페이지 경로측정항목 (Metrics)기준은 정해졌는데 어떤 값을 뽑으면 좋을끼 ? (정량적 측정 요소, 값)ex) 사용자 수 , 활성 사용자 수, 신규 사용자 수, 세션수, 참여 세션수,.. 2025. 2. 20.
[GA4] 탐색 자유 형식 보고서 활용하기 🗯️ 뭐 하나 제대로 아는 것이 없는 것 같다. 이 직무에 내가 어울리는건지 혼란스럽다......GA4부터 차근차근 다시 공부하고 기록해보자!!!! GA4 화면 사진들은 기존 자료 그대로 안쓰고 내가 직접 했다. 실습마저 남의 자료일 순 없으니까... 그 외 모든 자료는 출처에 표시된 자료와 같습니다...나의 자료가 아닙니다...❌  자유 형식 보고서란? 자유롭게 맞춤 설정한 항목들을 원하는 그래프 형태로 시각화할 수 있는 보고서  📍 모든 것을 다 '커스텀' 해야하는 만큼 보고서를 만들기 위해 내가 어떤 데이터를 기준으로 확인할 것인지 정리가 필요함! 1. 어떤 형식의 차트로 데이터를 확인할 것인지 2. 차트에 표시되는 데이터의 기준과 값은 어떻게 설정할 것인지 3. 필터로 값을 특정하거나 세그먼트.. 2025. 2.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