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롤 뎁스란 ?
사용자가 페이지를 몇 %까지 스크롤했는지를 GA4로 전송하는 이벤트.
GTM에서 설정하면 GA4에서 사용자가 콘텐츠를 얼마나 소비하는지 분석할 수 있음.
1️⃣ 트리거 설정하기
1) GTM 접속해서 트리거 설정 페이지 들어가기
2) 새로 만들기 클릭
3) 트리거 유형으로 '스크롤 깊이' 클릭
4) '세로 스크롤', '25,50,75,100'% 페이지 퍼센트 지정하기
5) '모든 페이지'에서 실행하기 클릭
2️⃣ 태그 설정하기
1) 태그 설정 페이지 들어가기
2) 새로 만들기 클릭
3) 태그 유형으로 GA4 클릭하고 GA4 측정ID 기입
4) 이벤트 이름 'scroll_depth'로 설정하기
5) 이벤트 매개변수 'scroll_percentage' 추가하기
6) 아까 만든 트리거 추가하기
7) GTM 설정 바뀌었으니까 '제출!!!!!!' 누르기
제출 버튼 안누르고 GA4에 데이터 안들어온다고 얼타고 있었음 .... 🤬
3️⃣ GA4에서 확인
1) GTM 디버깅 모드에서 GA4로 데이터 들어오는지 확인하기
2) 실제로 내 티스토리 접속해서 스크롤 해보면서 실시간 개요 이벤트 확인하기 !
🔖 scroll 이벤트와 scroll depth 이벤트의 차이는 뭘까 ? (with chatGPT)
✅ 1. "scroll" 이벤트란? (GA4 기본 제공 이벤트)
📌 GA4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자동 측정(Enhanced Measurement) 이벤트야!
📌 즉, GTM에서 설정하지 않아도 GA4가 자동으로 수집하는 이벤트!
📍 "scroll" 이벤트의 특징
✔ GA4에서 "강화된 측정(Enhanced Measurement)" 기능을 활성화하면 자동으로 감지됨
✔ 사용자가 페이지를 처음으로 90% 이상 스크롤했을 때 한 번만 실행됨
✔ 세부적인 스크롤 퍼센트(예: 25%, 50%, 75%)는 제공되지 않음
✔ 페이지별로 어느 정도까지 스크롤했는지를 대략적으로 파악하는 용도
📌 즉, "scroll" 이벤트는 기본적으로 "이 사용자가 페이지를 거의 끝까지 스크롤했는지?"만 확인하는 이벤트야! 🚀
✅ 2. "scroll_depth" 이벤트란? (GTM에서 설정한 커스텀 이벤트)
📌 이건 GTM에서 우리가 직접 설정한 커스텀 스크롤 이벤트야!
📌 즉, 사용자가 특정 퍼센트(예: 25%, 50%, 75%, 100%)까지 스크롤했는지를 세분화해서 추적하는 이벤트!
📍 "scroll_depth" 이벤트의 특징
✔ GTM을 통해 설정해야 실행됨 (자동 수집되지 않음)
✔ 사용자가 25%, 50%, 75%, 100% 스크롤할 때마다 개별 이벤트로 실행됨
✔ GA4에서 "scroll_percentage"라는 매개변수를 통해 정확한 스크롤 퍼센트를 기록함
✔ 사용자가 어디에서 이탈하는지를 분석할 수 있음!
📌 즉, "scroll_depth" 이벤트는 "사용자가 페이지의 어느 지점까지 스크롤했는지?"를 세분화해서 추적하는 이벤트야! 🚀
✅ 3. "scroll" vs "scroll_depth" 비교 요약
이벤트 데이터 수집 방식 실행 조건 세부 퍼센트 제공 여부 설정 필요 여부
scroll GA4 자동 수집 (강화된 측정) 사용자가 페이지의 90% 이상 스크롤했을 때 ❌ (90% 도달 여부만 확인 가능) ❌ (자동 활성화)
scroll_depth GTM에서 설정한 커스텀 이벤트 사용자가 25%, 50%, 75%, 100% 스크롤할 때마다 실행 ✅ (각 퍼센트별 데이터 제공) ✅ (GTM에서 직접 설정 필요)
📌 즉, GA4 기본 "scroll" 이벤트는 90% 도달 여부만 확인 가능하고, GTM을 통해 설정한 "scroll_depth" 이벤트는 세부 퍼센트까지 추적 가능해! 🚀
✅ 4. "scroll"과 "scroll_depth"를 함께 사용해야 할까?
👉 ✅ "scroll" 이벤트만으로는 부족한 경우가 많으므로, "scroll_depth"를 함께 설정하는 게 좋아!
✔ "scroll" 이벤트는 페이지가 끝까지 읽혔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용도로 적합
✔ "scroll_depth" 이벤트는 사용자가 어디까지 스크롤했는지 세부적으로 분석할 때 유용
📌 즉, "scroll"은 기본적으로 활성화해 두고, "scroll_depth"는 콘텐츠 분석용으로 추가 설정하는 것이 가장 좋음! 🚀
티스토리에 글 연재하면서 스크롤뎁스 데이터 개선하는 프로젝트도 해볼 수 있겠죠...?
사람들이 이탈하지 않는 글은 어떻게 써야하는 걸까요..🥹
🔖 scrolldepth 이벤트 활용하기
✅ 1. 스크롤 뎁스(Scroll Depth) 이벤트 데이터를 활용하는 3가지 방법
📍 활용법 1: 콘텐츠 품질 & 배치 최적화 (사용자가 어디에서 이탈하는지 분석!)
📌 스크롤 데이터로 콘텐츠의 강점과 약점을 찾을 수 있어!
✔ 사용자가 특정 구간에서 이탈하는지 확인
- 50% 미만에서 이탈이 많다면? → 초반 콘텐츠를 더 흥미롭게 변경!
- 75% 이상까지 스크롤하는 비율이 높다면? → 콘텐츠 길이 유지 & CTA 추가!
✔ 가장 많이 읽히는 콘텐츠 구간 찾기
- CTA(구매 버튼, 구독 링크) 배치 위치 최적화
- 중요한 정보(가격, 혜택)를 사람들이 많이 보는 위치에 배치
📌 예제 분석:
- "페이지의 50%까지 스크롤한 사용자가 30% 이하?" → 초반 내용을 개선해야 함!
- "100%까지 스크롤하는 사용자가 많다?" → 이 페이지에서 광고 효과가 좋을 가능성이 높음!
📍 활용법 2: 광고 & CTA(구매 유도) 최적화
📌 스크롤 데이터를 활용하면, 광고와 CTA(구매 유도 버튼)를 최적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어!
✔ 많은 사용자가 스크롤하는 페이지에 광고 배치
✔ 75% 이상까지 스크롤한 사용자 = 관심도가 높은 사용자 → CTA 배치!
✔ 100%까지 스크롤한 사용자는 전환 가능성이 높음 → 리타겟팅 광고 활용!
📌 예제 분석
- "100%까지 스크롤한 사용자가 많은 페이지에서 할인 쿠폰 제공" → 구매 전환율 증가
- "스크롤 50%까지 본 사용자를 대상으로 리타겟팅 광고 실행" → 광고 효율 최적화
📍 활용법 3: 모바일 vs 데스크톱 UX/UI 개선
📌 모바일 & 데스크톱에서 스크롤 패턴이 다를 수 있음! 이를 분석하면 UX 개선 가능!
✔ 모바일 사용자는 더 짧은 콘텐츠를 선호할 가능성이 높음 → 가독성 개선 필요!
✔ 데스크톱 사용자는 더 길게 읽을 가능성이 높음 → 긴 콘텐츠 유지 가능!
✔ 디바이스별 CTA(구매 버튼) 배치 최적화 → 모바일에서 CTA를 더 빨리 노출!
📌 예제 분석
- "모바일 사용자는 50% 이상 스크롤하지 않는다?" → 중요한 정보 & CTA를 위쪽으로 배치!
- "데스크톱에서는 100%까지 스크롤하는 비율이 높다?" → 긴 콘텐츠도 유지해도 괜찮음!
📍 스크롤 데이터 + 이탈률을 함께 분석하면?
📌 **이탈률이 높은 페이지와 스크롤 데이터를 함께 분석하면, 이탈 원인을 찾을 수 있어!**
✔ 이탈률이 높고 스크롤 데이터도 낮다면?
→ 사용자가 페이지 초반에서 바로 이탈! (콘텐츠 & 디자인 개선 필요)
✔ 이탈률이 높은데 스크롤은 많이 한다면?
→ 사용자가 끝까지 읽고도 행동을 하지 않음 → CTA 배치 최적화 필요!
✔ 이탈률이 낮고 스크롤도 많이 한다면?
→ 콘텐츠가 매력적이고 사용자 참여도가 높음!
📌 즉, 이탈률과 스크롤 데이터를 함께 보면, 왜 사용자가 페이지를 떠나는지 더 정확히 알 수 있어! 🚀
---
'🖥️ 부지런히 매체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이버 광고] 브랜드 검색 광고에서 브랜드 SNS 소식 추가! (0) | 2025.03.19 |
---|---|
[GA4] 내부 데이터 제외하기 (집,회사 컴퓨터 트래픽) (0) | 2025.03.12 |
[GA4,GTM] 티스토리에 GTM 설치하고 GA4와 연동하기 (1) | 2025.03.05 |
[GTM] 티스토리 연동 전, 구글태그매니저는 뭘까 ? (0) | 2025.02.27 |
[GA4] 맞춤 측정기준과 맞춤 측정항목의 정의와 사용 방법 (0) | 2025.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