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핑 검색 내에서 내 상품을 최적화하는 방법!
Part 1. 적합도 높이기
- 적합도란 ?
적합도는 내가 노력하는 만큼 최적화할 수 있는 요소.
상품 정보를 각 항목에 맞게 정확히 등록하는 노력만으로 얻을 수 있는 점수가 바로 적합도
인기도, 신뢰도를 신경 쓰기에 앞서 다른 판매자분들과 이 스타트 포인트를 똑같이 맞춰놓아야 함! - 적합도를 높이는 방법 1 ) 상품명으로 적합도 높이기
각 항목에 적합한 정보를 정확하고 깔끔하게 채워야 적합도 점수를 더 잘 받을 수 있음
사례 1 ) 동일한 양문형 냉장고를 등록한 a와 b 두 상품
a b 모두 동일한 키워드가 들어가 있지만 적합도 점수도 같을까?
알맞은 데이터를 각 항목에 맞추어 깔끔하게 채워 넣은 a가 더 높은 점수를 얻음
사례 2) 상품명은 사용자가 알아보기 쉽도록 간결하고 명확하게 작성해야함
알아보기 쉬운 상품명이 사용자의 선택을 받을 가능성이 높고 띄어쓰기도 적절히 활용해야 네이버에서도 검색 데이터를 더 잘 마련할 수 있음
상품명을 입력하지 못한 검색 키워드는 속성, 태그 등을 활용해 채워야함
상품명뿐 아니라 속성과 태그도 검색 키워드로 활용되므로 꼭 상품명에 다 넣지 않아도 됨
- 적합도를 높이는 방법 2) 카테고리 등록
여기서 중요한 점은 카테고리는 끝까지 등록해야 한다는 점!
키워드별 특성에 따라 상품을 대 카테고리까지 또는 세 카테고리까지 매칭할 수 있음
그런데 식품이라는 대 카테고리에만 매칭하게 된다면 그 외의 하위 카테고리 키워드인 사과와 같은 더 자세한 카테고리 키워드에서는 상품 매칭이 되지 않고 상위에 보여지기가 어려울 수 있음
롤 화장지 상품이라면 생활 건강, 생활용품 화장지, 롤 화장지에 대중 소세 카테고리까지 설정이 되어야 함
만약 중 카테고리까지만 등록했거나 소 카테고리까지만 등록했다면 롤화장지 키워드에서 카테고리 점수를 받지 못함!
★ 상품 등록할 때 카테고리는 마지막 단계까지 가능하면 채우자!
카테고리를 끝까지 설정해야 다양한 검색 결과에서도 손해를 보지 않음- 내 상품에 적합한 카테고리는 어떻게 찾을까 ?
카테고리가 모호한 경우 내 상품과 연관된 주요 키워드를 검색해 보고 상위 노출되는 상품의 카테고리를 참고
한 검색 키워드가 여러 카테고리를 동점으로 처리할 수도 있음
그래서 1위 상품만 보기보다는 상위 40위 상품을 모두 살펴보는 것을 권장
인기 카테고리를 매칭하는 것보다 주력 검색어와 연관된 카테고리를 등록하는 것이 더 중요할 수 있음!
- 내 상품에 적합한 카테고리는 어떻게 찾을까 ?
- 적합도를 높이는 방법 3) 브랜드 혹은 제조사 잘 입력하기
꼭 상품과 일치하는 브랜드 혹은 제조사를 넣고, 오등록 방지를 위해 키워드 입력 시 아래에 노출되는 자동 완성 기능을 활용해서 입력!
동의어는 검색 시스템에 자동 반영되므로 한 개 키워드만 채워도 충분- 사과는 별도의 제조사가 없는데 어떻게 하죠?
가전과 같이 제조사 정보가 구매 결정에 중요한 요소가 되는 상품을 꼭 제조사를 입력!
그 외에 별도의 브랜드나 제조사가 없는 경우는 꼭 작성하지 않아도 좋음
- 사과는 별도의 제조사가 없는데 어떻게 하죠?
- 적합도를 높이는 방법 4) 속성 입력하기
속성은 상품 등록 시 상품 주요 정보 영역에서 등록하는 상품의 특징에 대한 정보
속성을 무작정 많이 채우면 오히려 독이 될 수 있음
불필요한 속성 값을 다 넣기보다는 상품에서 구매 결정에 영향을 주는 대표 특징 위주로 채우기
해당 상품과 연관 없는 속성까지 모두 등록하지 말고, 상품에 꼭 맞는 속성 위주로 등록!- 검색창 아래에 이 검색 테이터 결과에 내 상품이 노출되길 원한다면 꼭 속성 값을 주목!
네이버는 이 필터 데이터를 만드는 데에 상품의 속성 정보를 활용함
따라서 브랜드 혹은 제조사 속성을 지닌 상품이라면 이러한 내용을 넣는다면 필터 노출의 기회가 생김
또한 사용자가 필터 기능을 사용할 때 검색 결과 수는 줄어들고 이는 곧 경쟁 상품이 줄어들 수도 있다는 이야기이므로 가능하면 속성 정보를 채우는 것을 권장함
- 검색창 아래에 이 검색 테이터 결과에 내 상품이 노출되길 원한다면 꼭 속성 값을 주목!
<적합도 관련 질문>
Q. 상품명의 키워드를 다 넣으면 적합도가 올라갈까요?
A. 정답은 세모입니다. 상품의 특징을 표현하는 정보를 정확하게 넣어주시면 적합도는 올라갑니다.
하지만 검색에 걸리기 위해 무작위로 키워드를 넣으면 적합도에 이득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브랜드, 주요 제품명과 같은 중요 키워드는 상품명에 넣어주시고 나머지는 속성과 태그에 넣어주세요.
Q. 카테고리 선호도가 바뀌어서 제 상품 노출이 안 돼요.
A. 카테고리 선호도란 적합도를 점수화하는 요소로 상품과 일치하는 카테고리로 등록이 되어 있는가를 살펴보죠.
네이버의 검색 결과는 매일매일 자동으로 최적화되고 있어요.
따라서 꾸준히 모니터링해 주세요. 카테고리 선호도가 바뀐 이유가 무엇인지 찾아보고 대응 방법을 고민해 보세요.
예를 들어 네이버 쇼핑의 정책이 바뀌는 경우가 있습니다.
식약처 권고 사항에 의해 특정 상품이 영양제 카테고리였다가 다른 카테고리로 변경될 수도 있거든요.
정책이 변경된 부분은 스마트 스토어 센터 공지 사항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Q. 판매자가 입력한 태그는 검색에 잘 반영되나요?
A. 정답은 o입니다. 검색 키워드에 잘 활용 중입니다.
다만 브랜드 입력 방법처럼 태그 또한 자동 완성 기능을 통해 입력드리기를 권장드립니다. 또한 브랜드명 포함 등 태그 정책에 어긋난 태그는 검색에 미반영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한 가지 더 팁을 드리자면 태그는 상품의 사용 목적, 예를 들어 상견례와 같은 '사용 시간, 장소, 무드' 등에 해당되는 키워드, 그리고 속성을 등록한 키워드와 중복되지 않는 키워드를 입력하면 검색에 더 잘 반영됩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네이버 가격 비교, 입점 및 광고 페이지 내 상품 검색SEO 가이드, 적합도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Q. 띄어쓰기 중요한가요?
A. 정답은 o입니다. 네이버는 띄어쓰기를 하지 않은 문구라도 띄어쓰기를 한 것처럼 시스템에 반영합니다.
하지만 자동화된 시스템이라 할지라도 간혹 반영이 어려울 수 있으니 판매자분들은 가급적 정확하게 띄어쓰기에서 등록해 주세요.
Part 2. 인기도 높이기
- 인기도란 ?
인기도는 적합도보다 점수를 얻는 것이 쉽지 않은 게 당연함.왜냐하면 상품이 사용자에게 선택받아야 얻어지는 점수이기 때문.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목할 점은 쇼핑 검색 결과에 보여지는 판매량은 랭킹에 반영되는 데이터가 아닐 수 있음.
즉 쇼핑 검색에 노출되는 판매량과 실제 랭킹에 반영되는 데이터가 다르다는 이야기인데, 네이버는 랭킹 데이터로 '30일 이내에 다양한 기간 내 인기도'를 주로 활용하고 있음.
여름에 바지를 검색하는 사용자에게는 여름 바지를 보여줘야지, 누적으로 판매가 많이 된 겨울 바지를 보여드리면 안됨!
그래서 네이버는 기간 내 판매 인기도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지금 필요로 하는 상품'을 보여주고자 함.
- 판매 지수는 구매 금액 및 구매 건수를 반영하고 있음
만일 상품 금액을 중요시한다고 하면 고가의 상품만 쇼핑 검색 상위에 노출될 것이고, 상품 수량만 중요시하였을 때 저가 상품만 쇼핑 검색 상위에 노출되는 것임.
네이버는 대중적 인기를 대표하는 상품을 사용자에게 보여주기 위해 구매 금액과 구매 건수 모두 인기도에 반영하고 있음. 그리고 네이버는 사용자가 상품 클릭을 하고 구매까지 이어지는지도 함께 살펴보고 랭킹에 반영.
상품 클릭과 유입 대비 판매량을 별도의 내부 지표로 삼아서 개선해야함.
만약 상품 클릭이 낮다면 검색 노출 정보와 상품 등록 정보를 보강하고, 구매로 이어지지 않는다면 상품 상세와 리뷰 등을 점검!
★내 상품은 쇼핑 검색 지면에서 클릭 수는 괜찮은데 구매까지 이어지지가 않아 고민이라면?
실제로 몇몇 판매자들은 상세 페이지에 타겟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구매 포인트를 잘 설명하고 사용자와 소통을 더 확실히 했을 때 사용자들은 상품 구매에 더 확신을 느낌 - 인기도 요소인 클릭 수
네이버는 7일 이내의 클릭수를 주로 활용하고 있음.
그리고 특정 키워드로부터 상품 유입이 많다면 해당 검색어 결과에서는 더 많은 인기도가 부여될 수 있음.
사용자가 많이 검색하고 클릭할 만한 내 상품에 경쟁력 있는 검색 키워드를 발굴해야함!
★저희 상품이 더 잘 팔리는 것 같은데 왜 타사 상품이 더 상위에 있죠?
앞선 사례처럼 타사 상품이 특정 검색어에서 더 인기가 많아서 좀 더 상위 노출되었을 가능성도 있음.
- 판매 지수는 구매 금액 및 구매 건수를 반영하고 있음
Part 3. 신뢰도 지키기
- 신뢰도란?
신뢰도는 상품명, SEO 이미지, SEO 네이버 쇼핑 패널티 세 가지.
신뢰도는 지키지 않을 경우 감점 요소로 반영됨.
- 상품 등록 페이지에 상품명 입력 후 상품명 검색 품질 체크 버튼이 있으니 이걸 꼭 눌러보자!
이후 팝업에서 안내되는 가이드대로 상품명을 수정하면 신뢰도 점수는 적어도 상품명 SEO 사유로는 감점되지 않음.
상품명 정책은 운영 정책이 개편되면 같이 변경되는 때가 있으니 판매자 센터 등에서 공지 사항을 꼭 자주 체크해야함! - 저품질 사례
1) 불필요한 텍스트 등을 추가하는 경우가 이 케이스 중에서 가장 빈번함.
검색 결과에서 이미지가 보여지는 영역이 상품 상세 페이지만큼 크지 않기 때문에 화려하게 꾸민 이미지보다는 깔끔하게 상품이 잘 보이는 이미지가 사용자에게도 더 잘 보임.
2) 화질이 낮은 이미지
상품을 정확하게 표현하는 선명한 고해상도 이미지를 사용해 주시면 좋음. - 페널티 부과
1) 가이드 위반 - 카테고리별로 모음 전 정책이 변경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품명이나 상품 등록 시에 권장 사항이 별도로 있음
2) 부정 판매나 구매평, 판매 실적 어뷰징 - 실제 사용자가 검색하고 구매한 것이 아닌 검색 결과에 영향을 주려는 의도로 조작된 판매나 구매가 일어난 경우를 의미.
3) 상품 정보 어뷰징 - 실제 상품과 연관도가 없는 키워드 등을 반영하는 경우가 해당. 경쟁 브랜드명을 추가하거나 실제로 없는 속성과 기능 키워드 등을 넣는 경우가 포함.
- 상품 등록 페이지에 상품명 입력 후 상품명 검색 품질 체크 버튼이 있으니 이걸 꼭 눌러보자!
Part 4. 요약 및 정리
쇼핑 검색 랭킹 최적화 전략?
적합도 / 인기도 / 신뢰도를 신경 쓰기!
출처: 네이버 비즈니스 스쿨 (https://bizschool.naver.com/online/course/65270/lecture/1462285)
'🖥️ 부지런히 매체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GA4] 탐색 자유 형식 보고서 활용하기 (0) | 2025.02.19 |
---|---|
[Naver Business School] 콘텐츠검색광고 잘 집행하기_'키워드' (0) | 2025.02.14 |
[kakao business seminar] 카카오모먼트 타게팅 (0) | 2025.02.11 |
[kakao business seminar] 카카오 비즈보드 CPT 알아보기 (0) | 2025.02.06 |
[kakao business seminar] 럼튼의 저비용 고효율 마케팅 성공전략 (2) | 2025.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