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 自性反省

분류 전체보기23

[Looker Studio] GA4 Data 대시보드 하면 할수록 헷갈리고 모르겠지만 안하는 것보단 낫겠지..다들 쉽다는데 나만 한번에 뚝!딱! 야무지게 못하는 것 같아서 자괴감 오지만 하루에 하나라도 배워가는 것 또한 의미있겠거니 생각하며 기록해본다!    📊 루커스튜디오 & 광고 데이터 공부! (with ChatGPT) 12/19 캠페인 별 성과보드 대시보드 작성 💡 오늘 배운 점 - '전환율' 계산 필드 넣다가 애먹음 🗣️ ChatGPT 전환율, 클릭률, 이탈률 등 비율 계산에서는 항상 전체 값의 합계(SUM 꼭 쓸 것)를 기준으로 계산해야 합니다. 행 단위로 나눈 후 합치면 잘못된 결과가 나오기 때문입니다. 💡 다음에 보충할 것 - 항목이 너무 많아서 상위 10개만 차트로 표시하고 싶은데 어떻게 하는지 모르겠다. 🗣️ ChatGPT 방법은 .. 2024. 12. 19.
WELCOME, 마케터 (모비커리어에듀) 💡 기술의 발전에 따라 변화된 디지털 광고 시장  광고주    --------------> 매체-----------------------> 애드네트워크         - DSP                       - SSP                          - 여러매체- DMP                                                          - SSP   DSP (Demand Side Platform) ?광고 시장의 수요자, 광고주 측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광고 구매 플랫폼' 이라고도 함중요한 개념은 '프로그램 바잉' 왜? 광고주가 실시간으로 체크하면서 광고 인벤토리를 일일이 구매하는건 어려움! DSP는 광고주가 광고 인벤토리를 구매하면서 가.. 2024. 12. 1.
[Naver] 검색광고 part 1 검색광고란 ? 검색광고는 이용자가 특정 검색어(키워드)를 검색할 때 검색어와 연관된 광고를 보여주고, 광고주의 웹사이트 및 상품 등 전문 콘텐츠로 연결해주는 광고 ex)  파워링크 영역 - 사이트 검색광고, 네이버쇼핑 영역 - 쇼핑 검색광고 이용자가 검색 후에 마음에 드는 광고를 클릭했을 시에만 과금이 되고클릭을 받지 않았다면 광고비가 나가지 않는다. (CPC)파워링크 광고가 검색했을 때 무조건 최상단에 노출 되는 것은 아니다. 이용도가 많지 않은, 검색수가 많지 않은 키워드는 파워링크가 중간이나 하단에 노출 될 수 있다. (ex. 네이버쇼핑 -> 블로그 -> 지식백과 -> 파워링크 -> 동영상)키워드의 이용도에 따라서 네이버 통합검색 노출 순서가 결정되고, 광고가 줄어들 수도 있다. 실제 광고를 집행 .. 2024. 11. 29.
훅 끌어당기는 콘텐츠 마케팅 (저자: 서준원) ✍🏼 트렌드 포착1) 관련 없는 업계 브랜드를 탐색한다.2) 평소 콘텐츠를 포착해서 저장한다.3) 큐레이션 서비스를 이용한다.4) 쓰레기 이론 - 쓰레기 던지듯 아무 말이나 해보자!5) 아이데이션 습관 만들기 - '영감을 기다리지 말고, 찾아올 시간을 알려주라'  ✍🏼 카피라이팅"카피라이팅 작성 전, 카피라이팅의 목적을 이해하자!"1) 암시 2) 시선 강탈 3) 선별 "유혹하는 썸네일 카피라이팅"1) 핵심 내용을 숨겨라 2) 제목에 숫자를 활용하라3) 정보성 콘텐츠라면 편익을 이야기하라4) 포모증후군5) 감탄 감상평 남기기  ✍🏼 인풋"새로운 인풋을 유지해라"콘텐츠의 영감이란 어디선가 수집해놓아서 아는 것을 재창조하며 만들어내는 결과물이다. 하늘에서 떨어지는 '만나'라기보다 꿀벌의 수분으로 부지런히.. 2024. 11. 24.
그로스해킹 - 양승화 p44AARRR을 활용하는 방법- 각 단계 별로 풀어야하는 문제를 확인한다. - 각 단계의 핵심이 되는 주요 지표를 선정하고, 해당 지표의 현재 수준을 측정한다. - 측정된 지표가 가지는 의미를 이해한다. - 개선해야 하는 목표 수준을 정하고, 실험을 통해 단계적으로 개선한다.  p44- p80📌 고객 유치 (Acquisition)- 고객 유치 과정의 핵심은 고객 유치에 기여(Attribution)한 채널의 성과를 판단할 수 있는 모델을 만드는 것이다.   💡 오가닉이라는 분류는 '자발적으로 유입된 사용자' 라는 의미로 사용되지만 실제 트래킹 서비스에서 이 분류를 나눌 때의 기준은 '유입된 채널을 식별할 수 없는 사용자'에 가깝다. 따라서 오가닉에 대한 관점을 바꿔야함!  organic 무료로 유입된.. 2024. 11.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