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애 마케팅 인스타그램 계정인 @호퍼네레퍼창고 ! 계정주 분의 본캐가 카카오 마케터인데,
마침 카카오 비즈니스에서 세미나를 열어주셔서 바로 신청했다... 이 계정을 보면서 나도 영감, 마케팅 계정 키워봐야지!
목표를 만들게 되었음,,,🥹 같은 풍경을 봐도 센스있고 재치있는 시선으로 인사이트를 캐치하는 능력이 대단하심,,,
세미나 들어보니까 말씀도 잘하신다! 따봉
내 계정 언제 만들지 ? 🥹
🗒️ 세미나 목차
01 내게 맞는 레퍼런스 찾기
- 레퍼런스를 쉽게 찾는 루틴 만들기
- 도움을 주는 뉴스레터 추천
02 줍줍한 레퍼런스 잘 써먹기
- Step 1. 가이드 설정
- Step 2. 타겟 페르소나 설정
- Step 3. 목적에 맞는 채널 탐색
- Step 4. 카피라이팅 & 킥 더하기
마케팅? 호불호가 있을 뿐 정답이 없는 것처럼 '내가 만들 수 있는 한 끗'의 색을 만들기 위해 많은 레퍼런스를
보고, 선별하는 눈이 필요하다.
01 내게 맞는 레퍼런스를 찾기 위해 어떤 것을 해야할까
- 레퍼런스를 쉽게 찾는 루틴 만들기
1. 다른 마케터들은 어떤 목소리를 내나 지켜보기
무슨 말을 하고 무슨 단어를 쓰고 무슨 채널에 돈을 쓰고 있나! 내가 유저라고 생각했을때 나에게 어떤 메세지를 전달하고 있는지!
🔎 How to ?
- 카카오톡 비즈보드, 푸시메세지 구경하기
- 다양한 플랫폼들의 배너보드를 구경하기
- 앱 푸시 메시지를 구경하기
➡️ 마케터들이 고민해서 심도 있게 내는 가장 액기스인 부분이기 때문에 영감이 되는 것들이 많다.
2. 개발자, 기획자, 제작자들은 어떤 목소리를 내나 지켜보기
🔎 How to ?
- 인기앱 순위 구경 (무료도 중요하지만 유료 인기앱을 보고 있다. 어떤 니즈에 사람들이 돈을 쓰고 있나? 어떤 USP를 느낀걸까? 그리고 이용자들의 리뷰를 본다. 어떤 부분에서 다운로드의 가치를 느끼는지?)
- 앱 업데이트 문구 구경
- 뉴스레터 제목 구경 (마케팅 소재나 배너와 마찬가지로 뉴스레터도 열람율이 중요한데, 이 메일을 열어보고 싶게 하는지, 삭제하는지 이 단락이 결정되는데 헤드 카피!가 뭘까 ?)
➡️ 어느 순간 생각치도 못한 순간에 브랜드의 팬이 되는 순간이 있는데, 그런 포인트들이 제작자나 마케터들이 유저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캐치하기!
3. 다양한 브랜드의 상세페이지/카피 구경하기
Top100 까지 보면서, 뭘 팔려고 하고 사람들이 뭘 많이 사지?
🔎 How to ?
- 카카오 메이커스 (의성어나 의태어 사용을 잘한다. 낮선 단어들로 하여금 시선을 이끈다.)
- 카카오 선물하기 (잘 팔리는 상품의 헤드카피와 상세페이지까지 구경한다.)
- 여러 커머스 플랫폼 속 인기 브랜드의 상세 페이지
➡️ 잘 만든 브랜드를 보면 어떤 USP로 어떤 이야기를 하는지가 잘 보이기 때문에, 심심하면 상세페이지 구경하기!
4. 평소 지나치는 것들에 시선 두기
아주 가끔은 매일 하는 루틴말고 평소에 잘 몰랐던 것에 시선을 두는 것도 스펙트럼이 넓어진다!
🔎 How to ?
- 아무것도 없는 검색어 (네이버 검색창에 아무 것도 타이핑하지 않고 검색하면 신기한 것들이 나온다.)
- 표지판, 안내판, 경고문
이 경고문을 보고 '광고 배너나 이벤트 페이지를 만들 때도 동선이 튄다? 싶으면 이렇게 팝업으로 안내해야겠다!' 는 인사이트를 얻은 사례.
01 내게 맞는 레퍼런스를 찾기 위해 어떤 것을 해야할까
- 도움을 주는 뉴스레터 추천
📭 찐 마케팅 실무에 도움되는 뉴스레터
1) 응답하라마케팅
2) 팁스터
3) 디블러
4) 스몰레터
5) 오픈애즈
6) 큐레터
📭 업계 동향을 넓게 보기에 좋은 뉴스레터
1) 스타트업 위클리
2) 뭐지 뉴스레터
3) 펜타레터
4) 텔유레터
📭 트렌드에서 영감을 얻기 좋은 뉴스레터
1) 고구마팜
2) 헤이팝
3) 서울라이터
4) 바게트 레터
02 줍줍한 레퍼런스 잘 써먹기
Step 1. 사용할 / 하지 않을 가이드 정하기
🔎 How to ?
지향하는 단어 / 지양하는 단어
말투 (~요/~니다)
컬러, 폰트, 템플릿 등
➡️ 무엇보다 '따라하지 않을' 레퍼런스의 가이드를 세우는 것이 중요!
ex) 경쟁사 언급은 안 할거야, 출처를 알 수 없는 유행어는 안쓸거야, 제품 스펙을 속이진 않을거야 등등
Step 2. 명확한 타겟 페르소나 설정하기
🔎 How to ?
- 연령, 지역만으로 타겟을 정하는 건 지양!
- 최대한 구체적으로 페르소나를 상상 (그 사람의 취미, 그 사람이 우리 제품을 쓸 때의 시간과 감정, 그 사람의 mbti, 그 사람이 평소 할로우하고 있는 계정 등 )
➡️ 브랜드와 소비자의 접점 순간을 조금 더 구체적으로 상상해보는 것! 우리가 가진 USP/이벤트가 가장 후킹할 수 있는 시점을 상상해보자!
Step 3. 목적에 맞는 채널 선택하기
- 뉴스레터 (구독자 모객 필요, 롱테일 커뮤니케이션, 강한 라포 형성)
- SNS (제작 리소스가 높음, 브랜딩&컨설팅 필요, 광범위한 타겟군)
- 카카오톡 채널 (간단한 세팅, 1:1 마케팅 가능, 별도의 채널 마케팅 필요)
- 비즈보드 (다양한 소재 테스트 가능, 금액 소진의 어려움, 전국민 대상 마케팅)
- SA (집행금액 높음, 확실한 타겟 접점, 디테일한 쿼리세팅 필요)
🔎 How to ?
- 이게 맞아?와 같은 정답은 없으니, 더 많은 세미나와 자료를 접하면서 내 브랜드, 제품에 맞는 채널을 찾아야함!
Step 4. 카피라이팅 & 마지막 킥 더하기
🔎 How to ?
모자를 파는 마케터라면 사다리를 파는 마케터를 본다거나, 앱 마케터인데 제품 마케팅을 둘러본다거나!
레퍼런스 주운 것들을 활용해보기
➡️ 평소 눈여겨 보던 것들을 사진 찍어 저장해두거나(어떤 경험에서 어떤게 좋았는지 잘 기록하는게 중요!),
내가 좋아하는 것, 관심있는 것들을 마케팅에 더해보기
출처 : 카카오비즈니스 세미나, @ref.hopper